유리쯔의일상 2023. 9. 18. 23:46
반응형
 
 

👇 공부한 자료들의 실제 소스파일들을 기록해놓은 공간입니다 👇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드디어 자바

 

오라클 3주가 끝나고 이제 자바가 시작 되었다.

솔직히 자바는 학부 때도 들었고 인프런 강의도 다 들었지만 아직 나는 부족하다...!

제대로 배우고 넘어가야 할 자바임으로 

열심히 공부하고자 한다...!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변수/자료형/연산자

 

변수란? 

값을 저장하는 공간, 그 값은 변할 수 있다 

 

 

변수는 최대한 아껴 쓰는 것이 좋다.

값을 저장하는 공간은 주 기억 장치에 할당된다.

 

 

자료형이란? 

변수를 저장할 값의 타입이다.


문자형 : char / 2바이트 
문자열 : String / 한글 2바이트, 기본 UTF-8은 한글 3바이트
정수 : int , byte, short , long / int 4바이트, byte 1바이트, long 8바이트, short 2바이트 
실수 : Float , Double / float 4바이트,  double 8바이트
참 거짓 : boolean / 1바이트

 

 

연산자란?

주요 연산자 1. 대입연산자 2. 산술 연산자

대입연산자는 오른쪽의 값을 왼쪽 변수에 대입한다 라는 의미

산술연산자는 말 그대로 + , - , /  , % , * 같은 수학 연산자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과제

과제를 풀면서 문제를 이해하고 해당 키워드인 변수/자료형/연산자를 이해해 보자

파일명  : Answer01
철수는 숫자  3개를 저장하고, 숫자의 결과를 합한 프로그램을 작성한다.

파일명  : Answer02
철수는 숫자 3개를 저장하고, 숫자의 평균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한다.
평균은 소수점이하는 무시한다.

파일명 : Answer03
철수는 프로그램이름을 저장하고, 프로그램이름은 거스름돈 계산기
int money=10000;
int pay= 2300;
거스름돈이 얼마인지출력

파일명 : Answer04
철수는 프로그램이름을 저장하고, 프로그램이름은 거스름돈 계산기
int money=10000;
int pay= 2300;
천원짜리 몇개, 백원짜리 몇개,십원자리 몇개, 일원짜리 몇 개 이렇게 출력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과제풀이

/*
파일명  : Answer01
철수는 숫자  3개를 저장하고, 숫자의 결과를 합한 프로그램을 작성한다.
*/


public class Answer01 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        int num1 = 10;
        int num2 = 20;
        int num3 = 30;
        System.out.println(num1+num2+num3);
        int[] num4 = {10, 20, 30};
        int sum = 0;

        for (int i = 0; i < num4.length; i++) {
            sum += num4[i];
        }
        System.out.println(sum);
    }
}
/*
파일명  : Answer02
철수는 숫자 3개를 저장하고, 숫자의 평균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한다.
평균은 소수점이하는 무시한다.
*/


public class Answer02 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        int num1 = 100 , num2 = 100 , num3 = 100;
        System.out.println((num1+num2+num3)/3);
    }
}
/*
파일명 : Answer03
철수는 프로그램이름을 저장하고, 프로그램이름은 거스름돈 계산기
int money=10000;
int pay= 2300;
거스름돈이 얼마인지출력
*/

public class Answer03 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
        int money=10000;
        int pay= 2300;
        String names = "거스름돈 계산기";
        System.out.println(names + " : " + (money - pay));
    }
}
/*
파일명 : Answer04
철수는 프로그램이름을 저장하고, 프로그램이름은 거스름돈 계산기
int money=10000;
int pay= 2300;
천원짜리 몇개, 백원짜리 몇개,십원자리 몇개, 일원짜리 몇 개 이렇게 출력한다.
*/

public class Answer04 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        /*
        *철수는 프로그램이름을 저장하고, 프로그램이름은 거스름돈 계산기
        int money=10000;
        int pay= 2300;
        천원짜리 몇개, 백원짜리 몇개,십원자리 몇개, 일원짜리 몇 개 이렇게 출력한다.
         */

        int money=10000;
        int pay=2331;
        int change = money - pay;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// 잔돈 변수 생성
        int rechange1000 = change%1000;                        // 7669원의 나머지 699원을 저장
        int rechange100 = rechange1000%100;                    // 669원의 나머지 69원을 저장

        System.out.println("거스름 돈 : " + change);              // 7669             : 잔돈 저장
        System.out.println("천원 갯수 : " + (change/1000));       // 7669 나누기 1000원 : 몫 7
        System.out.println("백원 갯수 : " + (rechange1000/100));  // 669  나누기 100원  : 몫 6
        System.out.println("십원 갯수 : " + (rechange100/10));    // 69   나누기 10원   : 몫 6
        System.out.println("십원 갯수 : " + (rechange100%10));    // 69   나누기 10원   : 나머지 9
    }
}

 

 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