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리쯔의일상 2024. 2. 1. 23:31
반응형

express 사용법

// js 파일 상단에 Import를 먼저 해야함 import express from 'express'   
// 해당 js파일이 있는 경로로 터미널을 실행한다 yarn init  
// packag.json 파일이 생성됨 "type" : "module"  
// 패키지 파일에 해당 내용을 추가하고 저장한다   
// yarn을 통해 express 설치 
// json파일의 "dependencies" 내용에 설치한 Express 목록이 추가되어야 한다

dependencies란?

설치했던 파일 목록이고 개발 환경의 히스토리이다
만일 nodemoules 파일 삭제시 재설치를 해야하며
재 설치시 yarn install 만 입력하면 처리됨

[주의점]
모든 명령어는 package.json 파일이 있는 폴더에서 진행해야 한다

yarn.lock

버전관리파일
express를 사용하기 위한 것들에 대한 모듈 정보가 담겨져 있다

[주의점]
서버가 꺼지면 당연히 통신이 되지 않는다.
컴퓨터가 꺼져도 서버는 종료된다

nodemon

저장하면 자동으로 서버에 반영해주는 도구이며 라이브서버 같은 라이브러리이다

실행법  nodemon index.js 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
 

 

 김춘장이의 위키백과 - 나만의 공부 기록 Tistory 

 

gayulz - Overview

개발자가 되고싶은 개발어린이💟. gayulz has 11 repositories available. Follow their code on GitHub.

github.com
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