🌱 𝐅𝐫𝐚𝐦𝐞𝐰𝐨𝐫𝐤/⠀⠀⠀⠀ Sᴘʀɪɴɢ

20231227🌱 즐겨봐요 봄날의 스프링

유리쯔의일상 2023. 12. 28. 23:26
반응형

 

 김춘장이의 위키백과 - 나만의 공부 기록 Tistory ❤ 

 

 


 

 

 

 

 

수업 시작 전 정리

spring-mvc는 중요한 설정 파일이 있다
학원 수업에선 IDE가 STS(Eclipse)로 진행하지만
난 인텔리제이를 쓰고 있어서 조금 다르다

  1. 인텔리제이 : applicationContext.xml == 이클립스 : root-context.xml
    서비스/레포지터리/데이터소스 등 애플리케이션 전체에 걸처 사용하는 빈들을 설정하는 파일
    DB관련 Bean등록, mybatis 관련 bean관리도 있음
  2. 인텔리제이 : dispatcher-servlet.xml == 이클립스 : servlet-context.xml
    웹 관련 설정, 컨트롤러-빈, 뷰리졸버, 인터셉터등 설정하는 파일
    컴포넌트 스캔도 있음
  3. pom.xml
    IDE 차이 없이 동일한 메이븐파일
  • DTO 객체 변수와 클라이언트가 보내는 파라미터는 동일해야 한다
  • DAO의 어노테이션은 @Repository
  • sqlsession이란?
    내가 원하는 쿼리를 찾아달라 요청하면 처리해 주는 역할
    DAO는 쿼리문을 신경 쓰지 않는다
    요청에 의한 정보를 전달해 주는 것에 집중해야 하기이다

 

 

 

스프링은 왜 인터페이스로 정의하고 구현하는가?

의존성을 낮추기 위함이다.
스프링에서는 인터페이스 1개에 구현받을 수 있는 객체는 1개로 제한을 함으로써
의존성 저하와 사용자의 실수를 줄이기 위함이다
서비스도 인터페이스를 구현받고 진행한다

 

 

 

컨트롤러의 역할

요청하는 것만 확인 후 처리할 곳에 연결 및 매핑하는 작업을 한다

 

 

 

서비스의 역할

컨트롤러의 요청에 맞게 처리를 진행한다
어떤 DB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지시하는 역할
한 개의 쿼리문을 최대한 다양하게 처리하게 적용해야 좋다
그런 부분을 판단하는 역할

 

 

다시 정리하는 흐름

Pasted image 20231227234059.png

 

Pasted image 20231227234340.png

 

 

 

 

오후 수업 퀴즈 및 설명 정리

  • 클라이언트가 요청했다는 의미의 소스를 찾아보자
    home.jsp의 요청하는 태그 부분이 요청했을 때의 시점이다
    요청과 매핑은 다른 것이다
    클라이언트가 요청에 의해 처리를 매핑했다 : @RequestMapping
    클라이언트가 처리를 위한 매핑에 다름 진행을 지시했다 : return
   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게시판 URL 찾기
    URL : /bbsview
    method : get
    parameter : 없음
    왜 GET 메서드라고 바로 알 수 있나? a tag라서 …
  • /bbsview 처리 메서드를 분석해 보자
    서버단의 분석은 MVC를 기준으로 분석하면 된다
  • Forwarding방식 : 바로 전달 > 서비스단을 거치지 않고 통과할 때 씀
    redirect : 컨트롤러 이름을 넣는데 컨트롤러를 한번 걸치고 간다

Pasted image 20231227235339.png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