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 

 

 김춘장이의 위키백과 - 나만의 공부 기록 Tistory ❤ 

 

 
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시작전 이야기

프로미스에 대해 이해하려면 먼저 HTTP를 알아야 한다
HTTP통신시 요청헤드:요청바디/응답헤드:응답바디 가 있다

응답헤드
 - status code / credentials : true(쿠키허용)
응답바디
 - 요청한 데이터가 있음

관련 링크

 

🌱Inflearn🌱 동기,비동기

❤ 김춘장이의 위키백과 - 나만의 공부 기록 Tistory ❤ GitHub - gayulz/StudyHistory: 나의 공부 기록 commit 나의 공부 기록 commit . Contribute to gayulz/StudyHistory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 github.com 동기

yurizzy.tistory.com

 

 

프로미스 , 프로미스 객체란?

프로미스는 비동기 적으로 동작시켜야 한다
사용자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그 요청을 JS코드로 실행하는 것 보다
빠르게 받아오는 것은 어렵다
서버와 실제 통신을 해야함으로 JS가 코드를 실행하는 것 보다 서버 통신은
느릴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
그래서 아직 데이터를 받지 못하였지만 언젠가 돌려줄꺼다 라며 약속하는 것이 프로미스이다

언젠가는 데이터를 돌려받을 건데, 아직 응답받지 못했다 라는 의미

 

 

프로미스의 상태

  1. fulfilled : 요청이 성공한 상태
  2. pending : 요청에 대한 응답 대기중 상태
  3. rejected : 요청이 실패한 상태

 

프로미스 특징

parse 메서드 : 응답 바디만 존재할 때 이용할 수 있다 헤드가 있으면 불가
헤더가 있는 경우 json으로 하면 됨

 

 

프로미스 문법

.then ~ .catch
then 에서 오류 발생 시 catch문으로 이동한다

console.error(err); 오류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 

개발공부중인 개린이의 포스팅 입니다📝

반응형
유리쯔의일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