❤ 김춘장이의 위키백과 - 나만의 공부 기록 Tistory ❤
전일 공부 정리
html : 구조담당 , 정적페이지
Javascript : 기능사용
DOM = Document
브라우저가 HTML 문서를 파싱하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객체이다
dom 을 통해 제어하고 읽어오고 할 수 있다 ,
상호작용하는 기능이라고 하면 됨
Input TAG
입력된 데이터를 인식하고 찾아올 수 있다
document에 있는 Input 태그가 걸린 요소의 데이터를 가져와야 할때 사용할 수 있다
QuerySelector
DOM안에 데이터를 가져올때 해당 태그를 선택하는 메서드이다
사용법 : querySelector(“가져올 특성”)
가져올 특성이 id 일 경우 #id명 / 클래스일 경우 .클래스명
예제
console.log(document.querySelector('#id명'));
해당 id태그의 값을 가져온다. 다만 해당 html가져오기 때문에 값을 가져올 경우 .value를 써줘야한다
console.log(document.querySelector('#id명')).value;
querySelector와 getElement는 다르다
두가지 모두 DOM 요소를 선택하는 메서드 이지만 다른점이 있다
- querySelector
선택자 활용가능, 다양한 선택자를 선택 가능하다,
첫번째 일치하는 요소만 선택한다 - getElemnetById
id만 선택가능하며 특정 id에 최적화 되어있다
(고유한 id 선택 가능)
짧고 간결한 코드
class 를 선택 할 경우 : document.getElementsByClassName
name 을 선택 할 경우 : document.getElementsByName
tag 를 선택 할 경우 : document.getElementsByTagName
querySelector는 getElementBy보다 느리다 라고 한다
선능, 속도를 중요 시 할때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
다만 생산성이나 편리함은 querySelector가 더 우수할 수 있다
(상황에 맞춰서 사용하는 것임)
메서드
document.createElement(생성 원하는 태그)
append chile : 하위 속성으로 추가하는 의미
defer ?
개발공부중인 개린이의 포스팅 입니다📝
'👩🏻💻 𝐋𝐚𝐧𝐠𝐮𝐚𝐠𝐞 > ⠀⠀⠀⠀ JᴀᴠᴀSᴄʀɪᴘᴛ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🌱Inflearn🌱 호이스팅 (0) | 2023.12.19 |
---|---|
🌱Inflearn🌱 자료형 간단 정리 (0) | 2023.12.19 |
🌱Inflean🌱 자바스크립트의 함수 (0) | 2023.12.18 |
🌱Inflean 🌱 자바스크립트 (0) | 2023.12.18 |
2023/12/11🕹️ 드디어 JavaScript를 시작하다 (1) | 2023.12.11 |